시가총액 상위종목 20개 PBR 낮은 주식 정리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주식 투자의 가장 기본적인 지표 중 하나입니다. 흔히 가치 투자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지표이기도 하죠.기업이 가진 자산 가치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저평가 또는 고평가되었는지 판단하는 데 중요한 힌트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국내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시가총액 상위종목을 top 20개의 기준으로 PBR 낮은 주식을 분석해보고, 현재 시장에서 저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식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PBR 이란 무엇인가요? (PBR의 기본 개념)
PBR(Price-to-Book Ratio)은 현재 주가가 주당순자산(Book Value Per Share)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간단히 말해, 기업이 가진 모든 자산을 청산했을 때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몫(주당순자산)과 현재 주가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 PBR이 1보다 낮으면: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가치보다 낮다는 뜻입니다. 이는 시장에서 해당 기업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 PBR이 1보다 높으면: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가치보다 높다는 뜻입니다. 시장이 해당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나 브랜드 가치 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PBR 이란? 뜻, 계산법 부터 저PBR 주식 소개.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이 기업은 PBR 0.1 기업으로 저평가된 종목입니다’ 같은 말을 듣게 됩니다. 하지만 처음 투자에 입문하는 분들은 “PBR 이란 도대체 뭘까?”라는 의문이 드실 수 있죠. 그
economy.solleemi.com
물론, 단순히 PBR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주식은 아닙니다. 낮은 PBR은 해당 기업의 성장성이 낮거나, 수익성이 좋지 않아 투자 매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BR은 PER(주가수익비율)이나 ROE(자기자본이익률) 등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올바른 투자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PER PBR ROE 로 보는 시가총액 상위종목 투자 전략: 진짜 가치주 찾기.
PER PBR ROE 로 보는 시가총액 상위종목 투자 전략: 진짜 가치주 찾기.
주식 시장에는 ‘시가총액 상위종목’이라는 말만으로도 많은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처럼 이름만 들어도 신뢰가 가는 기업들이죠.하지만 단순
economy.solleemi.com
시가총액 상위 20종목 PBR 순위표
위 사진은 네이버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입니다.
아래 표는 이 종목들 바탕으로 PBR 낮은 주식 순서대로 정리한 표입니다.
순위 | 종목명 | PBR | 시가총액 (조) | PER | ROE |
1 | 현대차 | 0.57 | 4,744 | 4.66 | 12.43 |
2 | 현대모비스 | 0.57 | 2,728 | 6.51 | 9.35 |
3 | 신한지주 | 0.61 | 3,388 | 7.66 | 8.11 |
4 | KB금융 | 0.72 | 4,352 | 7.91 | 8.86 |
5 | 기아 | 0.72 | 4,060 | 4.36 | 19.09 |
6 | 삼성생명 | 0.75 | 2,478 | 11.69 | 6.18 |
7 | 삼성물산 | 0.82 | 2,728 | 12.82 | 6.83 |
8 | 삼성전자우 | 0.98 | 4,744 | 11.27 | N/A |
9 | 삼성전자 | 1.20 | 4,208 | 13.77 | 9.03 |
10 | 포스코홀딩스 | 1.26 | 3,354 | 19.52 | 7.90 |
11 | SK하이닉스 | 2.28 | 2,853 | 7.53 | 31.06 |
12 | HD한국조선해양 | 2.21 | 2,519 | 17.04 | 11.16 |
13 | 셀트리온 | 2.23 | 3,987 | 79.92 | 2.46 |
14 | 카카오 | 2.69 | 2,816 | 184.10 | 0.56 |
15 | LG에너지솔루션 | 4.29 | 9,079 | -78.01 | -4.93 |
16 | 두산에너빌리티 | 5.54 | 4,214 | -413.84 | 1.52 |
17 | HD현대 | 6.28 | 3,101 | 46.09 | 11.52 |
18 | 삼성바이오로직스 | 6.44 | 7,266 | 56.79 | 10.45 |
19 | HD현대중공업 | 6.98 | 4,052 | 46.20 | 11.39 |
20 | 네이버 | 8.11 | 3,388 | 7.66 | 8.11 |
PBR 1배 미만: 저평가 우량주들의 특징
표를 보면 현대차, 현대모비스, 신한지주, KB금융, 기아,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 다수의 종목들이 PBR 1배 미만에 위치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BR이 1배 미만이라는 것은 시장이 이들 기업의 자산 가치보다도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현대차(0.57배)와 현대모비스(0.57배), 신한지주(0.61배), 기아(0.72배), KB금융(0.72배) 등은 PBR이 1배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 자동차, 금융 등 전통 산업군: 이들 기업은 이미 성장이 어느 정도 둔화된 성숙한 산업에 속해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들의 미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기보다 현재의 자산 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합니다.
- 높은 배당 성향 및 주주환원 정책: 최근에는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배당을 늘리거나 자사주를 소각하는 등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는 기업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점차 낮은 PBR을 해소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순이익 및 자산 규모는 안정적: PBR이 낮더라도 PER과 ROE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업이 꾸준히 이익을 창출하고 자산을 늘려가고 있지만, 시장의 평가가 아직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결론적으로, PBR 1배 미만인 기업들은 현재의 자산 대비 저평가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치 투자를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미래의 성장성이나 기업의 펀더멘탈(ROE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판단해야 합니다.
ROE란 무엇인가? 계산법과 ROE 높은회사 정리(25년 최신)
ROE란 무엇인가? 계산법과 ROE 높은회사 정리(25년 최신)
‘ROE란’ 쉽게 말하면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에 내가 투자했는데, 그 회사가 내 돈을 얼
economy.solleemi.com
높은 PBR: 시장의 기대가 반영된 종목들
반대로 PBR이 매우 높은 기업들도 눈에 띕니다. 네이버(8.11배), 삼성바이오로직스(6.44배), 카카오(2.69배), 셀트리온(2.23배)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은 대부분 기술주, 바이오주, 플랫폼 기업 등 미래 성장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산업군에 속해 있습니다.
이들의 높은 PBR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무형 자산의 가치: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플랫폼 기업들은 물리적인 자산보다 데이터, 브랜드, 사용자 네트워크와 같은 무형 자산의 가치가 더 중요합니다. PBR 지표는 이러한 무형 자산의 가치를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높은 PBR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높은 성장 기대감: 바이오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나 셀트리온은 미래 신약 개발이나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PBR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현재의 자산 가치보다 미래에 창출할 이익에 더 큰 가치를 부여받는 것이죠.
- 높은 ROE: PBR이 높으면서 ROE(자기자본이익률) 역시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ROE는 기업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므로, 높은 ROE는 높은 PBR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됩니다.
결론: PBR은 종합적인 관점에서 봐야 할 지표
지금까지 시가총액 상위종목 20개를 기준으로 PBR을 분석해봤습니다. PBR은 투자자에게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PBR 낮은 주식은 잠재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찾는 데 도움을 주며, 높은 PBR은 시장이 어떤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지 보여줍니다.
하지만 PBR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합니다.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PER, ROE), 그리고 속해 있는 산업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오늘 살펴본 PBR 낮은 주식종목들이 단순히 저평가된 것인지, 아니면 시장의 우려를 반영하고 있는 것인지 꼼꼼히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글은 특정 기업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니며,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란 뜻, 장단점, 투자 하는 방법까지 총정리. (2) | 2025.08.15 |
---|---|
금 투자 방법, 2년간 꾸준히 해온 적립식 투자(금통장에서 갈아탄 이후이야기) (6) | 2025.08.08 |
미국주식 시간외 거래시간, 써머타임, 휴장일 정리(2025년) (9) | 2025.08.07 |
LG 유플러스 주가가 핫한이유 (9) | 2025.08.06 |
금투자 가장 안전한 방법 2탄, KRX 금현물 vs 금현물 ETF (4) | 2025.08.04 |